사랑학개론12 뭐든 미쳐야 성공 한다 - 이희숙 한때 나는 사랑 때문에 아주 미쳐있었다. 위로 오빠와 언니가 결혼을 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 스물일곱의 나이가 될 때까지 단 한 번도 결혼을 하고 싶다거나 내 자신이 결혼할 적령기가 되었다는 생각조차 하지 않았던 스물일곱 그 해 여름, 거짓말 같이 내 마음으로 들어온 한 남자로 인해... 어느 날.. 2005. 9. 12. 남자 그리고 여자 이야기 - 이희숙 남자는 후각과 시각에 예민하고 여자는 청각과 미각에 예민하다는 말이 있다. 그래서일까 여자는 자신이 사랑받고 있다는 걸 알고 있고 느끼고 있으면서도 수시로 사랑을 확인하고 싶어한다. 그런 이유로 습관처럼 건네는 인사처럼 내뱉는 남자의 사랑해, 보고 싶어. 라는 짧은 한마디 .. 2005. 4. 17. 사랑을 꿈꾸는 당신이라면 숨은 1%의 열정을 찾아라 - 이희숙 사랑하고 있는 동안 인간의 뇌에서는 각성제가 나오는데 대략적으로 3년 이내에 끝이 난다는 설이 있다. 하루에도 사랑해 라는 말을 셀 수 없이 속삭이고 너 없으면 살아도 사는 게 아니라는 등 온갖 듣기 좋은 말로 서로를 확인하던 사이도 어느 시점에 이르면 우리가 정말 사랑하고 있을까하는 의구.. 2004. 11. 22. 야누스의 두 얼굴 ‘이성’을 사랑할 수밖에 없다 - 이희숙 부제(사랑할 때 꼭 버려야 하지만 끝끝내 버려서도 안 되는 그 무엇) 언제인가부터 나는 사랑이라는 단어를 떠올릴 때면 불의 여신 펠레(Pele)가 화내면 폭발한다는 화산섬 앞에 선 것처럼 팽팽하게 긴장하는 나를 발견하곤 한다. 그러한 느낌은 종종 내 사랑이 폭발하는 화산섬은 아니어도 불처럼 뜨겁.. 2004. 4. 26. 불멸의 사랑에 대한 소망만이 존재 할 뿐이다 - 이희숙 ‘사랑, 완전한 사랑은 이것이다.’ 라고 정의를 내린다는 것 자체가 무형의 마음과 언어에 대한 반란일지도 모른다. 그런데 완전한 사랑이라는 말은 문자와 언어라는 것이 생성된 이래 지식층에 의해 혹은 보통사람이라고 불리 우는 대중들에 의해 언어와 성별, 나이, 더 나아가 국가와 .. 2004. 2. 17. 표현하는 사랑은 아름답다 - 이희숙 언제부터인가 글을 쓰면서 내게도 바람이 생겼다. 그 바람이란 것은 어찌 보면 평소 내 생각을 이끌어 내고 싶은 욕심에 지나지 않은 것일 수도 있지만 어느 순간부터인가 가슴과 머리가 함께 나누고 싶어 하는 이야기를 연작으로 써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. 그러한 생각이 드는 순간 가장 먼저 내 머.. 2004. 2. 16. 이전 1 2 다음